방황은 발전의 시작이다-

우리가 아는 방황이라는 것의 이미지를 그리 좋은 이미지는 아니다. 좋지 않은 이미지로 치부되는 이유는 우리가 살아온 사회의 획일성 때문이다. 정치적으로는 조선 시대를 거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거의 독재정권 하에서 생활해 왔다. 독재정권은 기존에 자신들이 만든 질서와 규범의 테두리 내에서 사고하고 행동하기를 원한다. 그리고 그런 테두리를 벗어 날 경우 공권력을 동원해서 가차 없이 규제를 해왔다. 당연히 그들은 교육을 통해서 그들이 만든 테두리를 벗어나는 일탈에 대해 암묵적으로 죄악시하는 교육을 시행하여 왔다.

사회적으로는 조국 근대화라는 미명아래 개인의 인권은 제대로 존중받지 못하고, 근로자는 오로지 경제발전을 위한 도구로 치부된다 보니 기존 사회적 질서에 어긋나는 생각이나 행동은 허용될 수가 없었다. 가정에서도 가부장제 도하의 명령과 복종의 관계 속에서 그것에 어긋나는 발상을 한다는 것은 불효로 치부되고 터부시되었다.


위와 같은 시대적 맥락에서 획일적 문화에 길들이기를 원하는 기득권층은 무조건적인 복종을 하지 않고 방황하거나 기존 질서에 대한 의심은 비도덕적인 정신 상태로 치부될 수밖에 없었다. 방황이라는 것은 기존의 신념에 의문을 제기하고, 새로운 신념으로 가는 과정의 과도기적 정신 상태이다. 사람의 정신적 발전은 기존의 것들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용만으로는 절대 발전할 수가 없다.

기존의 것을 의심하는 과정을 통하여야만 새로운 진리들이 발견되어 질 수가 있다. 물론 기존의 것들을 의심하고 새로운 것을 정립하는 정신적 과정은 고통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 그런 고통을 회피하고자 수많은 사람은 기존의 질서를 무조건 맹신하게 된다. 정신적 방황을 회피하려는 것은 정신적 게으름일 뿐이다. 게으른 사람에게는 성취할 것이 없듯이 정신적 영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방황하는 과정이 빠진 성장은 없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